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유아 개월별 수면 패턴 특징과 건강한 수면 습관 만드는 방법

by ADt 2025. 3. 18.
반응형

신생아부터 영유아까지 아기의 수면 패턴은 빠르게 변화합니다. 수면은 아기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개월별로 아기의 수면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월별 수면 패턴과 함께 건강한 수면 습관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월별 수면 패턴

▶ 0~1개월 : 신생아의 불규칙한 수면

신생아는 하루 14-17시간 정도 자지만, 한 번에 길게 자는 것이 아니라 짧게 여러번 나누어 지는 것이 특징입니다.하루 평균 23시간마다 수유를 위해 깨어나며, 밤낮 구분이 없고 하루 종일 잠들고 깨기를 반복합니다. 부모는 이 시기에 수면 시간을 강제로 조절하려 하기보다는 아기의 신호에 맞춰 자연스럽게 수면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3개월 : 수면 리듬이 조금씩 형성되는 시기

이제 낮과 밤의 구분이 조금씩 생기며, 밤에 조금 더 오래 자는 아기들이 늘어납니다. 하지만 여전히 3~4시간 간격으로 수유를 위해 깨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시기에는 밤에는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하고, 낮에는 ㅏㄺ은 환경에서 활동하게 하여 생체 리듬을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4~6개월 : 밤중 수면 시간이 연장됨

생후 4개월이 지나면 밤에 6-8시간 연속으로 자는 아기들이 많아지며, 수면 사이클이 점차 성숙해집니다. 하루 총 수면 시간은 약 12-16시간이며, 낮잠은 하루 3번 정도로 규칙적으로 변합니다. 이 시기부터는 일정한 취침 루틴을 형성해 주면 더욱 안정적인 수면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 7~9개월 : 낮잠이 2번으로 조정됨

이 시기에는 낮잠이 하루 2번(오전과 오후)으로 줄어들면서 밤잠 시간이 더욱 길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밤에 10~12시간 연속으로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가 나거나 분리 불안이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일시적으로 수면 패턴이 흐트러질 수도 있습니다.

▶ 10~12개월 : 보다 규칙적인 수면 패턴 확립

생후 10개월 이후부터는 하루 2번 낮잠을 유지하며, 밤에는 10~12시간 정도 연속으로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시기에는 수면 의식을 만들어 규칙적인 취침 시간을 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기 전에 조용한 환경을 조성하고, 루틴을 지켜주면 더 쉽게 잠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활동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낮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면 밤에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12~18개월 : 낮잠이 하루 1번으로 조정됨

돌 이후부터는 낮잠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일부 아기들은 하루 1번만 낮잠을 자기도 합니다. 밤잠 시간은 여전히 10~12시간 정도로 유지됩니다. 이 시기에는 독립적으로 잠드는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며, 낮잠을 너무 늦은 시간에 재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일정한 취침 루틴을 유지하면 수면 패턴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위한 팁

  • 일관된 수면 루틴 만들기: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도록 유도하고, 목욕, 책 읽기, 자장가 등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면 아기가 안정감을 느낍니다.
  • 편안한 수면 환경 조성: 조도가 낮은 조명, 적절한 실내 온도,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 낮과 밤 구분하기: 낮에는 밝은 환경에서 활동하게 하고, 밤에는 어둡고 조용한 환경을 조성하여 생체리듬을 맞춰줍니다.
  • 자연스럽게 잠드는 습관 기르기: 아기가 혼자서도 잘 잘 수 있도록 도와주고, 수유 없이도 잠들 수 있도록 천천히 연습시킵니다.

수면 훈련이 필요한 시기와 방법

어느 시점부터 수면 훈련을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요? 일반적으로 생후 4~6개월 경부터 수면 훈련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페이드아웃 방법(점진적 훈련)'과 '자기진정 훈련'이 있으며, 아기의 성향에 맞는 방ㅂ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페이트 아웃 방법: 아기가 잠들기 전 곁에서 토닥여 주거나 다정하게 이야기를 해주다가 점차 개입을 줄여 독립적으로 잠들도록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 자기진정 훈련: 아기가 스스로 다시 잠들 수 있도록 잠자리에서 바로 안아주지 않고, 일정 시간 기다려주는 방법입니다.

이처럼 영유아의 개월별 수면 패턴을 이해하고, 건강한 수면 습관을 만들어 가면 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 입니다. 부모도 아기의 수면 리듬을 존중하면서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 패턴이 흔들릴 때에도 너무 걱정하지 말고, 아기의 신호를 잘 관찰하며 조절해 나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